🔎 K-패스가 뭐야?

👉 흔히 알고 있는 일종의 교통카드에요.

👉대중교통(시내·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 등) 정기 이용 시 (월 15회 ~ 60회)

👉지출금액 일부 환급 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 혜택을 받아요.

🔎 알뜰교통카드랑 다른 게 뭐야?

🚌 알뜰교통카드

  • 도보ㆍ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로 환급해요.
  • 출발과 도착을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요.

🚌 K-패스

  •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20~53%를 현금으로 환급해요.
  • 출발과 도착을 기록할 필요가 없어졌어요.

🔎 이미 3월 4일부터 진행된 회원 전환?

K-패스 출시 전에 “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이용자”를 대상으로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 회원 전환을 진행하고 있어요.

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별도로 카드를 발급받지 않아도 간단히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.

회원 전환 방법도 간단해요.
✅ 전환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🙏

전환을 완료하면 5월 1일부터 즉시 K-패스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어요.

(단, 전환을 미리 완료하지 않으면 회원 전환을 완료하기 전까지 K-패스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없어요!)

❗️ 그런데

지난주 기준으로 아직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81%가 K-패스 회원으로 전환하지 않았다고 해요.

게다가 서울시가 이르면 오는 7월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 인상한 1,550원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고 하니, 이 글을 읽으셨다면 꼭 내가 K-패스 전환을 했는지 한 번 더 확인해보세요!

🔎 24일부터 K-패스 카드 발급 가능!

오는 4월 24일(수)부터 카드사(10개사)*에서 K-패스 카드 발급을 시작한대요.

  • 국민, 농협, BC(BC바로, 광주은행, IBK기업은행, 케이뱅크), 삼성, 신한, 우리, 하나, 현대, DGB유페이, 이동의 즐거움(모바일 이즐, 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)

발급받은 뒤에는 5월 1일부터 바로 사용 가능해요.

🙂 지원대상

📍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거주중인 만 19세 이상 주민

📋 지원내용

📍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지급

*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지급

📍 적립률

- 일반 : 20% 적립
- 청년(만19 ~ 34세) : 30% 적립
- 저소득 : 53% 적립

📍 적립수단 : 전국 모든 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등)

* 다만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 불포함

📍 K패스-경기(The경기패스) / K패스-인천(인천I-패스)

※ 청년19~39세는 월별 교통비의 30% 환급 (35~39세 추가 지급)

📆 신청기간

📍 상시신청

🔍 신청방법

📍 K패스 신규 회원

- 카드발급 : 신한, 현대, 우리, 하나, 삼성, 농협, KB국민, BC, IBK기업은행, 광주은행, 케이뱅크, 이동의즐거움, DGB유페이
- K-패스 회원가입
K-패스 회원가입 절차

📍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
-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
*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회원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

🏪 접수기관

📍 국토교통부

☎️ 문의처

📍 한국교통안전공단 : 054-459-744174427446

📍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: 044-201-50845086

🏠 홈페이지